국내 코인거래소 각 거래소의 예치금 이용료율(이자율), 지급 방식, 업비트 예치금 등 거래소별 예치금 규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법에 거래소가 고객 예치금에 대해 의무적으로 이용료를 지급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7월 19일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법이 시행되면서 국내 코인거래소에서 예치금 이자율, 이용료율에 대해 공지하고 있습니다.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법이 무엇인지 모르는 분들은 먼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세요.
국내 코인 거래소 예치금
거래소 | 이용료율 | 지급 주기 | 파트너 은행 | 예치금 규모 |
---|---|---|---|---|
업비트 (Upbit) | 연 2.1% | 매 분기 첫 날로부터 10일 이내 | 케이뱅크 | 6조3222억원 |
빗썸 (Bithumb) | 연 |
매일 | NH농협은행 | 1조6389억원 |
코빗 (Korbit) | 연 2.5% | 매달 세 번째 영업일 | 신한은행 | 564억원 |
코인원 (Coinone) | 연 1.0% | 정기(분기 단위) 또는 수시 | 카카오뱅크 | 1128억원 |
고팍스 (Gopax) | 연 1.3% | 분기별 익월 10영업일 내 | 전북은행 | 41억원 |
업비트 코인 거래소 예치금(이용료율)
- 이용료율: 연 2.1% (세전)
- 지급 주기: 매 분기 첫 날로부터 10일 이내 지급
- 파트너 은행: 케이뱅크
- 예치금 규모: 6조3222억원
빗썸 코인 거래소 예치금(이용료율)
빗썸은 원화 예치금 이자율을 기존 2.0%에서 2.2%(세전)로 상향 조정합니다. 이자율 외 모든 조건은 기존과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이자는 고객 예치금을 제휴 은행에 신탁하여 얻은 수익으로, 매일 23시 59분 59초 기준 잔고에 따라 계산됩니다. 세법에 따라 15.4% 원천징수되며, KYC 미이행 시 지급 제한될 수 있습니다. 예치금 이용료율은 회사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이용료율: 연
2.2%4% - 지급 주기: 매일 기준
- 파트너 은행: NH농협은행
- 예치금 규모: 1조6389억원
빗썸이 거래소 예치금 수수료를 4%로 변경했습니다. 시중의 일반적인 예금보다도 높은 이율인데요, 빗썸이 이를 갈았나보네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버튼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코인원 코인 거래소 예치금(이용료율)
코인원은 2024년 7월 19일부터 예치금 이용료를 연 1.0%로 지급합니다. 예치금은 매일 24시 기준 원화 잔고로 계산되며, 분기마다 정기 지급과 수시 지급 옵션이 있습니다. 예치금 이용료는 KYC를 완료한 실명확인 계좌 보유 회원에게만 지급되며, 세전 금액에서 세금 공제 후 지급됩니다. 첫 정기 지급은 2024년 10월 1일, 수시 지급은 2024년 7월 20일부터 시작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코인원 공지를 참고하세요.
- 이용료율: 연 1.0%
- 지급 주기: 정기(분기 단위) 또는 수시
- 파트너 은행: 카카오뱅크
- 예치금 규모: 1128억원
고팍스 코인 거래소 예치금(이용료율)
고팍스는 2024년 7월 19일부터 연 1.3%(세전) 이율로 원화 예치금에 대한 이용료를 지급합니다. 예치금은 전북은행에서 관리되며, 매 분기 익월 10 영업일 이내에 지급됩니다. 이용료는 KYC 이행 및 국내 거주 확인이 완료된 고객에게 지급됩니다. 탈퇴 전까지 발생한 이용료는 탈퇴 시 지급되며, 이자소득세 15.4%가 원천 징수됩니다. 예치금 운용비율은 60%로 설정되며,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이용료율: 연 1.3%
- 지급 주기: 분기별 익월 10영업일 내
- 파트너 은행: 전북은행
- 예치금 규모: 41억원
코빗 코인 거래소 예치금(이용료율)
2024년 7월 19일부터 시행된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코빗은 고객의 원화 예치금에 대해 연 2.5%의 이자율로 이용료를 지급합니다. 예치금은 신한은행에서 관리되며, 매일 원화 예치금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KYC를 완료한 회원에게만 지급되며, 첫 지급일은 2024년 8월 5일입니다. 이자소득세 15.4%가 원천징수되며, 탈퇴 시 미수령 이용료는 지급되지 않습니다.
- 이용료율: 연 2.5%
- 지급 주기: 매달 세 번째 영업일
- 파트너 은행: 신한은행
- 예치금 규모: 564억원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이 시행되면서 거래소가 고객 예치금에 대해 의무적으로 이용료(이자)를 지급하게 되었습니다. 코인이 제도권에 수용되면서 점점 좋아지는 측면이 있는것 같습니다. 코인 금투세, 세금만 유예를 몇 년 더 해주면 좋겠는데요… 코인 세금 관련 정리해둔 내용이 있으니 함께 확인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관련해서 잘 정리된 블록미디어 유튜브가 있어 공유드리며 마무리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